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외국의 소프트웨어 교육

외국의 소프트웨어 교육 

 

주요 국가의 소프트웨어 교육 현황

주요 국가의 소프트웨어 교육 과정

 

주요 국가의 소프트웨어 교육 현황

 방향

 - 단순한 지식의 습득능력보다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창의적 문제 발견 및 해결 능력을 강조

 - 미국 : 유치원부터 고등학생까지 컴퓨터 과학 교육을 위한 'Computer Science for All' 추진

 - 이스라엘 : 고등학교('92년)부터 중학교('11)까지 컴퓨터 과학을 정규과목으로 도입

 - 영국 : 모든 학교 급(초~고)에서 'computing' 교육 의무화('14년 9월) 

 - 인도 : 1학년부터 8학년까지 컴퓨터 과학 교육 의무화 추진('13년 6월)

 

 현황

 - 정보화를 21세기 국가경쟁력의 핵심 전략으로 인식

 - 정보 과학 역량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마련

구분 미국 영국 중국 이스라엘  인도
필수 / 선택 필수 필수 필수 필수
필수 / 선택 필수 필수 필수 필수
필수 / 선택 필수 필수 필수/선택 선택 필수

 

 에스토니아

 - 창의적인 SW 개발의 가치를 발견하고, 세계 최초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7세부터 19세까지 가르침

 - 2012년부터 초.중등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SW 교육 프로그램인 'Proge Tiger' 운영

 - 민관이 협력하여 특별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, 핀란드 IT 기업이 자문역할을 수행

 - 2011년 영국 벤처 창업 경진대회 예선 20개 팀 중 에스토니아에서 4개 팀 출전

 - 스타트업을 통한 기술 및 자본 창출 증가. 세계 최초의 전자투표 SW 개발

 - 대표적 소프트웨어 회사 '스카이프'

 

 영국 

 - 2014년 ICT 활용교과를 "컴퓨터 과학"으로 개편하고 초중고 필수 교과 과정으로 시행

 - 방과 후 SW 교육 프로그램인 ' 코드클럽'을 정규교과과정으로 채택

 - 초등학교에서 '컴퓨팅'을 주당 50분 이상 교육

 - 11세 이상 학생들에게는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를 교육

 - 컴퓨터 과학, IT기술, 디지털 스킬의 세가지 부분을 포함 최소 2개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습득하는 것을 목표

 

  미국 - 3단계 교육 과정

 - 1단계 - 초등학생 대상으로 기초 기술 습득을 통해 컴퓨터 과학을 이해 / 간단한 컴퓨팅적 사고를 경험하고 생활 속 컴퓨팅의 중요성을 인지

 - 2단계 - 중학생 대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서 컴퓨팅적 사고를 활용 /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강화

 - 3단계 - 고등학생 대상으로 기술과 컴퓨팅이 사회.윤리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이해 / 컴퓨터 과학적 사고와 실천이 정립되도록 훈련

 

  시사점 

  - 초 중등학교에서 정보과목을 필수 과목으로 지정

 - 우수한 정보 교사 양성을 위해 다양한 교육체제 구축

 - 우수한 정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노력

 - 교육방향을 ICT 활용 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 교육으로 전환

 - 프로그래밍 교육에 일찍부터 집중 투자

 - 민주시민의 기본 역량 교육의 하나로 인식

 

우리나라 정보 단원 영역

 - 정보문화, 자료와 정보, 프로그래밍과 문제해결, 컴퓨팅 시스템